본문 바로가기

자동차사고과실비율3

자동차사고 과실비율 인정기준, 나의 과실비율 알아보기 ■자동차사고 과실비율 / 인정기준, 나의 과실 비율 알아보기 ○ 과실비율 인정기준이란? 교통사고 발생시 가해자와 피해자의 책임정도를 나타내는 과실비율에 대하여 법원 판례, 법령, 분쟁조건사례 등을 참고로 만들어진 국내 유일의 공식기준입니다. ○ 제정 배경 및 사용 이유 연간 자동차보험사고약 340만건 발생하고 있습니다. 모든 사고에 대하여 법원(과실 최종결정기관)의 과실판단을 받 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소송 전에 과실 합의를 위한 기준이 필요 합니다. (단위: 건, %) 연도 CY2016 CY2017 CY2018 CY2019 CY2020 종결건수(증감률) 3,392,265 (0.3%) 3,341,086 (-1.5%) 3,399,320 (1.7%) 3,364.. 2022. 4. 29.
자동차사고 과실상계 절차와 근거 ■ 자동차사고 과실상계 절차와 근거 ○ 과실상계 절차와 근거 과실상계(過失相計)란 채무불이행 또는 불법행위에 의해 손해가 발생한 경우 채무불이행 또는 불법행위의 성립 그 자체나 그로 인한 손해의 발생, 손해의 확대에 채권자 또는 피해자의 과실이 있는 경우 손해배상책임 및 그 금액을 정함에 있어 이를 참작하는 법리를 말합니다. (민법 제 396조, 민법 제 763조) 교통사고에 있어서 과실상계는 피해자에게 과실이 존재할 때 교통사고로 인해 상호 발생한 손해에 대하여 자신의 과 실만큼 상대방의 손해를 배상하는 것입니다. [과실상계 예시] 구 분 (가)차량 운전자 (나)차량 운전자 과실비율 20% A 80% B 피해액 100만원 C 200만원 D 과실상계 (나)에게 보상하는 금액 (가)에게 보상하는 금액 A .. 2022. 4. 29.
자동차사고 과실?, 자동차사고과실산정, 과실산정, 과실분쟁발생요인 ■ 과실의 개념 ☞ 통상적인 사람을 기준으로 하여 마땅히 해야 할 의무를 게을리 하였거나, 또는 해서는 아니 될 의무를 행한 경우로써 행위자에게 부과된 주의의무위반을 말합니다. ☞ 교통사고에서의 과실은 자동차 운행과정에서 발생한 사고의 운전자 주의의무 위반에 대한 책임을 의미하며, 과실비 율은 교통사고 가해자와 피해자의 책임정도를 나타내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 과실의 산정요인 ☞ 객관적 자료: 판례, 법령(도로교통법 등), 보험업감독업무시행세칙, 분쟁조정사례 등 ☞ 전문가(경찰, 보상직원, 사고감정사 등)조사: 사고 주요 원인 등 ☞ 주관적 판단: 안전운전 불이행, 사고예측 가능성, 사고회피 가능성 등 ⇒ 위 산정요인의 종합적인 판단에 의해 과실이 산정되며, 이를 최대한 반영하여 기준화 한 것이 『과실.. 2022. 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