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실의 개념
☞ 통상적인 사람을 기준으로 하여 마땅히 해야 할 의무를 게을리 하였거나, 또는 해서는 아니 될 의무를 행한 경우로써
행위자에게 부과된 주의의무위반을 말합니다.
☞ 교통사고에서의 과실은 자동차 운행과정에서 발생한 사고의 운전자 주의의무 위반에 대한 책임을 의미하며, 과실비
율은 교통사고 가해자와 피해자의 책임정도를 나타내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 과실의 산정요인

[과실비율 산정 원칙]------------------------------------------------------------------------------------------------------------
1. 도로교통법의 우선권 여부에 따라 판단합니다.
■ 가해자의 과실과 피해자의 과실
☞ 가해자의 과실은 의뮈위반이란 강력한 과실인데 반하여 피해자의 과실을 따지는 과실상계에 있어서는 과실이란
가해자의 과실과는 달리 사회 통념상, 신의성실의 원칙상, 공동생활상 요구되는 약한 부주의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임.
☞ 교통사고에 있어서 가해자의 과실은 사고의 주요 원인제공자로서 교통법규위반에 대한 형사상˙행정상 처벌을 받는
강력한 과실임에 반해 피해자의 과실은 방어운전 등에 대한 민사상 책임을 지는 약한 과실입니다.
■ 과실분쟁이 발생하는 이유
Q . 사고발생 당시 어느 한쪽의 잘못 인정을 이유로 다른 한쪽이 무과실을 주장하는 경우
"사고현장에서 무조건 잘못했다고 했었는데, 보험사를 통해서 나에게도 과실이 있다고 한다. 나는 인정할 수 없다."
|
Q . 상대편 운전자에 대한 감정악화로 상대 운전자에게 100% 또는 보다 많은 과실 책임을 주장하는 경우
"상대편 운전자가 잘못했는데 차에서 내리자마자 나를 협박하고 욕을 했다. 나쁜 사람이라서 100% 과실이 주어져야 한다."
|
Q . 사고당사자가 도로교통법 등 올바른 운전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해석을 왜곡하여 과실을 인정하지 못하는 경우
"상대편 차량이 교차로에서 진로변경을 했다.(도로교통법 제22조 교차로에서는 진로변경이 아닌 추월이 금지되어 있음)
진로변경 금지구역에서 진로변경을 했으므로 중과실이고 가해자이다." |
Q . 사고당사자가 블랙박스 영상, 사고 사진을 등을 유리하게 해석하여 더 적은 과실을 주장하는 경우
"블랙박스 영상을 보면 상대편 차량이 갑자기 끼어든다. 상대편 차량을 회피할 수 없었으므로 과실이 더 적어야 한다."
|
Q . 보험사의 설명 및 응대에 대한 불만으로 보험사가 제시하는 과실비율을 신뢰하지 못하는 경우
"보험사가 내 과실이 30%라고만 하고 왜 그렇게 결정되었는지 기준이나 근거를 설명하지 않았다. 내 보험사인데 내 주장
은 듣지 않고 상대편 보험회사 주장만 듣는다." |
Q . 주변의 지인으로부터 잘못된 정보를 취득하여 사고 상황과 맞는 않는 과실 주장 및 민원 제기를 하는 경우
"내가 아는 사람이 똑같은 사고에서 무과실을 받았다. 나도 동일하게 무과실을 받아야 하는데 보험사에서 과실이 있다고
한다. 무과실 처리를 안하면 민원을 제기하겠다." |
Q . 보험사 및 과실비율에 대한 왜곡된 여론으로 보험사를 불신하는 경우
"내가 볼 때는 내가 무과실인 것 같은데 10% 과실이 있다고 보험사에서 제시한다. 이것이 언론에서 이야기 하던 보험사 나
눠먹기인가 보다." |
Q . 실제론 사고에 대한 과실은 인정하고 있지만 보험료 할증을 이유로 무조건 피해자이거나 무과실을 주장하는 경우
"내가 피해자인데 상대편 잘못으로 왜 내 보험료가 할증되어야 하는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
|
※ 교통사고를 처리하다보면 많은 분들이 그래도 자신의 과실을 줄이기 위해서 입장을 설명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일반적인 경우는 보험사에서 피해 상황에 대한 판단을 인정하고 인정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욕하고 협박하는 등의 이유로 과실을 더하려고 하는데 이것은 과실에는 해당하지 않으며, 별도의 소송으로 대처하셔야 합니다.
개인적으로 경험상 합의시에 각각의 보험사의 보상팀끼리 같은 지역을 보상하는 거니까 상부상조하는 것도 있고, 하위사들은 대인사고와 대물사고 중에 대인보상 팀이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경우 타 보헙사의 보상팀의 지원을 받습니다.
또 오래전 일이지만 시골의 경우 경찰이 지역주민이라고 해서 봐주기식으로 가해자 인데 주민이라고 아는 사람이라고 피해자를 만드는 경우도 있었고, 진자 피해자는 억울해서 저한테 전화 한 적도 있어 그자리에서 상황을 알려주고 경찰에에게 다시 이야기해서 피해자로 바꿔준 적도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차사고시 보험사의 보상팀이 설명도 듣고 모르면 사고시 꼭 경찰을 불러서 사건을 되도록이면 합리적으로 처리하도록 노력해야 하고 이는 운전자들의 목이라고 생각하고, 자동차사고 보상에 대해 지식을 어느정도는 쌓으시기 바랍니다.
https://nodajinee.tistory.com/253
자동차사고 과실비율분쟁 심의 위원회
■ 자동차사고 과실 비율분쟁 심의 위원회 ○ 심의근거: 자동차사고 과실비율 분쟁 등의 심의에 관한 상호협정 ○ 심의대상 요건: 보험사 및 공제사 사고접수 건일 것 - 담보 보험(공제)이 자
nodajinee.tistory.com
https://nodajinee.tistory.com/252
자동차사고 과실비율 인정기준, 나의 과실비율 알아보기
■자동차사고 과실비율 / 인정기준, 나의 과실 비율 알아보기 ○ 과실비율 인정기준이란? 교통사고 발생시 가해자와 피해자의 책임정도를 나타내는 과실비율에 대하여 법원 판례, 법령, 분쟁
nodajinee.tistory.com
자동차사고과실비율, 자동차사고과실비율개정, 자동차사고가실비율인정기준, 자동차사고과실비율소송, 자동차사고과실, 자동차사고과실비율간편검색, 자동차사고과실비율수리비, 자동차사고과실비률치료비, 자동차사고과실비율에따른보험료할증, 자동차사고과실100%합의, 자동차사고과실100, 자동차사고과쌍방과실, 자동차사고과실기준, 자동차사고과실도표, 자동차사고과실비율분쟁조정
'보험정보도우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사고 과실비율 인정기준, 나의 과실비율 알아보기 (0) | 2022.04.29 |
---|---|
자동차사고 과실상계 절차와 근거 (0) | 2022.04.29 |
2대질병 보장과 보장범위 확장..생보는 보장 안해요~~ (0) | 2022.04.14 |
풍수해보험 정부지원되니 가입하세요~~소상공인은 필수 (1) | 2022.04.08 |
실비보험 악용에 칼빼든 금감원, 백내장수술 조심 보험사기 포상제도 운영 가입자들 조심하세요 (4) | 2022.04.06 |
댓글